계면활성제는 세안제를 넣으면 거품이 잘 생겨 세정력을 높이고, 크림에 넣으면 굳기를 조절하고 성분을 잘 섞어 발림성을 높인다. 게다가 끈적임이 없어 사용감이 좋고, 싸게, 대략으로 무슨 제품에든 넣어 다양하게 생산할 수 있다.요즘은 화장품의 효능 성분을 진피까지 침투시키는 역할까지 맡고 있으니, 어쩌면 우리에게도 알라딘의 마술램프나 다름없는 존재일지도 모르겠다.
천연계면활성제는 유화력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얼굴에 사용하더라도 피부의 보호막이 파괴되지 않는다. 그러나 계면활성제는 피지도 유화시킬 정도로 강해 보호막 기능에 손상을 준다.
보호막이 파괴되면 외부의 작은 자극에도 쉽게 반응하게 되어 트러블의 원인이 되고, 수분 증발로 인해 피부가 건조해진다.
또 피부에 상재균 대신 악성균을 번식시키고 이는 여드름과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즉 피부에는 피지가 어느 정도 있어야 수분 증발을 막기도 하고 외부 균으로부터 보호도 할 수 있는데, 이것은 피지를 깡그리 없앰으로써 피부 본연의 기능을 파괴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화장품이 잘 스며들고 촉촉하면 그만이었지만 요즘엔 효능 성분을 피부 깊숙이 침투시켜 가시적인 효과를 보여야만 좋은 화장품으로 인정하는 추세다. 그래서 화장품 회사는 합성계면활성제를 더 작은 분자량으로 만들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것이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라우릴황산나트륨이다.
라우릴황산나트륨은 피부 알레르기 유발 및 점막, 눈의 자극과 발암성을 지적받고 있으며, 트리에탄올아민 역시 발암성, 비부 및 점막 자극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있어 그 자체로도 안전성을 의심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성분이 같이 들어있은 걸 생각하면 진피층까지 효능 성분이 침투된다고 해서 단순하게 좋아할 일만은 아닐 것이다.
많은 대형 화장품 회사들은 합성계면활성제의 심각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으며 이를 대체할 천연계면활성제도 연구해왔다. 어쩌면 그들은 진즉부터 개발해놓고도 실용화를 늦추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런 의심이 드는 이유는 이미 중소기업에서 천연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십년의 기술력을 보유한 대형 화장품 회사들이 천연계면활성제 개발을 못했다는 것은 누가 봐도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그런데도 합성계면활성제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아마도 대량 생산 가능한 합성계면활성제가 주는 꿀 같은 이윤을 놓치기 싫어서가 아닐까.